내가 청계광장에 들어섰을 때는 다행히 광장이 닫혀 있지 않은 상태였다. 개막식 바로 이틀 전, 불법집회로의 변질 가능성을 이유로 이명박 정부가 영화제 자체를 불허하였기 때문에 나는 현장 상황이 그리 좋지는 않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었다. 시청 앞 광장이 앞서 그랬던 것처럼, 전경버스가 빙 둘러싸고 있는 영화제 현장을 머릿속으로 그리면서 가볍지 않은 발걸음을 재촉했던 것이다.
청계광장으로 향하는 지하철 안에서 나는 이 사회의 총체적인 불합리에 대한 막연한 분노와 불안감, 답답함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고민했던 것 같다. 마땅히 시민들에게 열려있어야 할 시민들의 공간이 권력의 필요에 의해 차압당하는 어이없는 현실 앞에서 힘없는 개인은 그것을 그저 목도하고 있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무기력은 단지 인권영화제에 대한 불허라는 하나의 사례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정이 아니었다. 생각이 거듭되면 거듭될수록, 인권이나 민주주의나, 표현의 자유 따위는 어디에도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하였다. 그렇다면, ‘차별의 최외곽에 외롭게 서있는 성소수자들의 인권은?’ 하는 데까지 생각이 미치자 마음속은 한층 더 번잡해졌다.
예상을 깨고, 평화롭게 모여 앉아 영화의 시작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모습이 시야에 들어오자 나는 안도감인지, 허탈함인지 모를 복잡한 기분에 휩싸였다. 결국 이게 전부이고, 이걸 원한 것뿐인데, 우리는 왜 이 작은 것 하나도 자유롭게 할 수 없는 사회에 던져져 있는 것일까. 나는 그런 생각들을 하면서 광장 한 구석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 개막식이 이미 시작되어 있었고, 그동안 나는 마음을 다잡으며 같이 간 일행과 약간의 담소를 나누었다.
개막식이 끝난 직후 상영된 영화는 용산 참사 이후 남은 유가족들과 철거민들의 투쟁을 그린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이라는 다큐멘터리였다. 영화가 상영되는 내내 나는 한순간도 그 처절한 투쟁의 현장에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언론을 통해, 그저 하나의 심각한 사건으로만 용산 참사를 바라보고 있던 나에게 현장의 울부짖음은 말 그대로 충격 그 자체였다. 가족을 잃은 슬픔이나, 삶의 터전을 빼앗긴 분노, 그 모든 것들을 가슴으로 삼키며 그래도 어쨌든 싸워야 하는 사람들의 절망. 화면 속에 담긴 그 거대한 감정의 소용돌이들을 지켜보면서, 나는 나의 냉담함을 자책해야만 했다. 입으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말하면서 나는 과연 얼마나 진지하고 따뜻하게 그 사건을 바라보고 있었던가. 결국 내가 아는 것은 하나도 없었던 것이 아닐까.
나는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그다지 감정을 이입하는 사람이 아니다. 그러나 그 날만큼은 카메라를 향해 양팔을 벌려 하트를 그려보이고는 연기 속으로 사라진 희생자의 모습을 보고 눈물을 지을 수밖에 없었다. 경찰도, 검찰도, 서민을 위한 정책을 펴겠노라고 한껏 위선을 부리는 이 정부도 지켜주지 않은 그 힘없는 한 사람의 어깨 위에서 나는 지옥 같은 현실의 짐을 보았다. 그리고 어쩐지 인간적인 유대감이 생겨나는 것 같았다.
내 주변의 성소수자들이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가족을 잃거나, 삶의 터전에서 밀려나거나, 도저히 변할 것 같지 않은 막막한 세상을 향해서 무참히 짓밟히면서도 싸워나가는 모습이 그 분들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눈가에 눈물이 비치는 순간, 비로소 가슴 깊이 그 분들의 삶에 공감하게 된 것이었다.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는 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느라 어디에도 가지 못하고 끊임없이 절망하면서 기다림을 반복하는 인물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영화제가 끝나고 걸음을 옮기는 동안, 나는 ‘고도를 기다리며’에 등장하는 이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을 떠올렸다. 죽어서도 떠나지 못하는, 삶의 터전을 되찾기 위해 떠나지 못하는, 오지 않는 희망을 믿으며 이 땅에서 떠나지 못하는, 우리들 모두의 삶이 참으로 녹록치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불합리한 삶의 중심에서 분노하고, 불안해하고, 답답해하면서 우리는 과연 어디로 향해 가고 있는 것일까. 우리의 끊임없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이 처절한 저항의 끝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나는 이런 근원적인 물음에 휩싸인 채, 청계천변을 걸어 종로를 향해가고 있었다. 그 대답이 무기력한 것이 아니기 위해 마음을 다잡고 또 다잡았다. 밤은 차갑고 길은 어둡고 길었다.
해와 _ 동성애자인권연대
'무지개문화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모필리아homophilia의 불온한 상상력을 넘어 (2) | 2009.07.06 |
---|---|
LGBT 투쟁의 역사 - 릴리언 패더먼 인터뷰 (0) | 2009.07.06 |
영화 <엑스맨> 시리즈를 돌아보면서 (4) | 2009.06.01 |
연애, 그 달콤 쌉싸래한 인생살이 (5) | 2009.04.28 |
다큐 <레즈비언 "정치"도전기>를 보고 : 감동적인 용기와 열정, 길을 묻다 (1) | 2009.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