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소수자 모임/대학 성소수자 모임

[대학 성소수자 동아리 릴레이 인터뷰③] 혜성처럼 등장한!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Q'를 만나다!

by 행성인 2013. 3. 13.

인터뷰: 이주사, 모리 (동성애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참여: 봉순, 매튜, 반야, 미묘, 아넬, 콩호두

 


1.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Q에 관한 소개 부탁 드려요.(간략한 소개, 서강대 퀴어 모임의 역사)
춤Q: 서강대학교엔 1999년 정도부터 친목 위주의 커뮤니티인 서강이반모임 ‘If Is’가 있었는데, 작년까지 있다가 사라져버렸어요. 자세한 사정은 모르지만 모임을 이끌던 한 사람이 대부분의 일을 맡아서 하다보니 그 분이 졸업하면서 모임이 관리가 안 된 것 같아요. 그래서 2012년 가을 학기부터 기존 모임의 회원들 몇 명과 알음알음 알던 사람들이 모여 서강퀴어자치연대를 만들자는 이야기를 시작했어요.

 

모임을 만들 때 기존 모임의 한계점을 개선하려는 욕심이 있었어요. 기존 모임은 학내에서 전혀 존재감이 없었고, 홍보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서강대 구성원이라는 인식도 없었어요. 또 동시대에 학교에 분명히 존재했던 활동가들을 규합하지 못했던 점도 개선하려고 했어요. 다시 말해서 서강대의 퀴어구성원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모임을 만들고자 했어요.

 

‘퀴어'라는 단어는 LGBT나 성소수자라는 단어보다 더 넓은 의미를 포함하고 싶었던 것이고, ‘자치'라는 단어는 학내 자치기구 인준을 염두에 둔 것이었어요. ‘연대'라는 단어는 마레연(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과 동인련의 ‘연대(Solidarity)'와 같은 의미에요.

 

총학이 여성주의 운동에 관심이 많아서 때마침 여성주의 모임을 만들려고 했어요. 여성주의 모임이라면 학내에서 가장 우호적일 거라고 생각해서 모임에 찾아갔어요. 새롭게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니 도움을 받을 수도 있고, 여성주의 모임에 가면 퀴어 활동가들을 만날 수 있을 거라는 생각도 있었죠. 여성학과 사무실 앞에 퀴어문화축제 포스터가 붙어있는 걸 본 적이 있었거든요. 이 때 콩호두를 만났어요.


2. 활동하는 구성원은 몇 명 정도? 회원들은 어떻게 들어오나요?
춤Q: 현재 회원은 29명 정도 되고, 중심적으로 활동하는 '연대원'은 8명 정도 돼요(개강 후 3월 9일 현재 학내 대자보 등 여러 홍보 수단을 통해 가입한 카페 회원수는 58명, 그 중 연대원은 12명으로 꾸준히 증가 중이다). 지금 회원들은 보통 기존 서강이반모임의 회원이었거나, 알음알음 아는 지인, 트위터나 커뮤니티에 뿌린 웹자보를 보고 온 사람, 데이팅 어플에서 보고 들어온 사람들이죠. LGBT 인권포럼을 보고 가입한 사람도 있어요.


3. 추구하는 모임의 성격이 있나요(커뮤니티 or 인권 운동)
춤Q: 아직까지도 많이 고민하고 있고, 계속 고민할 문제라고 생각해요. 내부적으로 굉장히 많은 토론을 했어요. 커뮤니티(친목)도, 인권운동도 둘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인권과 실생활이 뗄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춤Q: 모임 이름을 정할 때도 고민이 많았어요.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Q'라는 이름을 지을 때도 ‘자치연대'라는 단어부터가 너무 운동권 성향이 강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고, 뜻이 맞지 않는 사람도 있었어요. 이름이 회원들이 들어오지 못하는 장벽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고. 반면 최소한 이름만이라도 ‘자치연대'라고 지어놓아야 이 명맥이 유지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죠. 그래서 결과적으로 양쪽의 의견을 다 수렴해서 ‘서강퀴어모임 &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Q'라는 이름으로 하기로 했어요. 지금은 거의 ‘춤추는Q’로 불려요.

 

이주사: 동인련도 비슷한 고민이 있어요. 사실 인권단체이지만 커뮤니티적인 성격이 없을 수가 없는 거잖아요. 그리고 커뮤니티와 연결되지 않으면 우물 안 개구리처럼 뜬구름 잡는 인권 이야기만 하게 돼요.

 

춤Q: 토론할 때 그림을 그린 게 있는데, 커뮤니티-활동가-인권이 둥글게 이어지는 선순환구조에요. 인권운동에 별로 관심이 없어도 왜 멋있는 활동가 선배가 있으면 따라가는 경향이 있잖아요? 반대로 커뮤니티에서 인권운동에 펀딩을 줄 수도 있을테구요. 지금까지는 친목 모임과 인권 활동가들의 간격이 너무 컸던 것 같아요. 그 간격을 좁히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이주사: 제가 대학 다닐때는 커뮤니티와 인권운동이 다른 게 아니었어요. 그 당시엔 우리 존재를 스스로 인정하는 것 자체가 인권운동이었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 같아요. 이제까지의 대학모임들을 보면, 이 둘 사이의 ‘모 아니면 도'식의 생각 때문에 오히려 더 힘들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수도 없이 모임 이름을 바꾼다던가 하는. 유연하고 조화롭게 했다면 좋지 않았을까. 서울대 큐이즈(QIS)처럼 친목 모임 안에 인권운동 소모임이 있는 구조도 좋은 것 같아요.


4. 올해 무지개행동 LGBT 인권포럼을 무지개행동과 함께 준비했는데.
춤Q: 작년 12월 쯤 콩호두가 LGBT 인권포럼을 서강대에서 개최하기 위한 물밑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그때는 춤Q가 없었어요. 콩호두가 학교에 있는 조직을 잡아서 개최하려고 처음에 총학을 꼬드겼어요. 지금 총학이 정치적으로나, 여성주의자들이 있다는 점에서나 함께 일하기 좋을 것 같았대요. 그 과정에서 춤Q가 콩호두를 만나서 실질적인 포럼 진행을 맡게 된 거에요. 사실 춤Q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 모든 사업들이 같이 진행된 거죠.

 

이주사: 인권포럼을 준비하면서 춤Q가 가진 목적 같은 게 있었나요?

 

춤Q: 인권포럼은 모임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어요. 어떻게 홍보하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이제까지 퀴어와 학교가 연결된 적이 없다고 생각해서 퀴어가 꿈꾸는 캠퍼스 지도를 그리기로 했어요. 팜플렛에 담아서 인권포럼 떄 부스에서 배포했어요. 또 여성주의 모임이나 총학 같은 자치기구들과 친해질 수 있는 계기도 된 것 같아요. 실제로 총학 사람들과 생활도서관 사람들이 LGBT 인권포럼에 와서 섹션을 듣기도 했고, 춤Q의 탄생을 축하하는 축사도 받을 수 있었어요.


'퀴어 캠퍼스 지도'를 들고 있는 봉순


퀴어 캠퍼스 지도!(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어요!)

 

이주사: 좋은 일인 것 같아요. 함께 일하다 보면 그 사람들도 춤Q의 활동에 관심을 갖게 되고, 그저 장소를 빌리는 것에 ‘협조’만 하는 것과는 다른 관계가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건 춤Q가 서강대의 구성원이 되겠다는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춤Q: 그리고 인권운동에 관심이 있다는 걸 표명할 수도 있고, 한국 성소수자 인권운동의 핵심 세력들과 네트워크를 연결 할 수 있다는 것도 좋았어요.

 

이주사: 혜성처럼 등장한거죠!


5. 교내에 마레연 현수막을 걸었다고 하던데.
춤Q: 마포구청에서 거절한 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의 현수막을 걸기로 한 건 총학과 함께 하기로 한 일이었어요. 총학에서 하나를 걸고, 춤Q에서 나머지 하나를 거는 거죠. 마레연에서 권장하고 있기도 했고, 서강대가 마포구에 있는 학교로서 마레연 현수막에 대해 마포구청에 성명서를 내기도 했었구요. 총학이 임기가 끝나기 전에 먼저 입학식과 신입생 오티를 맞아 춤Q 이름과 함께 현수막을 걸었어요.

"서강대에 입학한 신입생 열 명 중 한 명은 성소수자 입니다"


현수막을 그냥 걸 수도 있었지만 명분이 있어야 해서 새내기를 환영하는 내용을 넣었죠.

 

이주사: 좋은 것 같아요. 학교에 맞게 적용한 거니까 더 와닿을 것 같고.

 

춤Q: 두 번째 현수막은 개강에 맞춰서 조만간 게시할 예정이에요.


"LGBT, 우리가 지금 이 캠퍼스에 함께 있다"



6. 새내기 오리엔테이션 자료집에 ‘성소수자’ 파트를 세 쪽이나 넣었다고 하던데.
춤Q: 동인련에서 제작한 인권교육 꾸러미 자료집과 변날에서 새내기를 대상으로 배포해온 팜플렛을 참고했어요. 할당받은 분량은 두 페이지인데, 자료를 만들고보니 다섯 페이지더라구요. 줄이고 줄여도 세 페이지보단 줄일 수가 없어서 세 페이지로 제출했더니 그대로 나왔어요. 자료를 만드느라 설연휴를 반납했어요(ㅠㅠ).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반성폭력 교육이나 성평등 교육을 하는데, 아마 그때 이용될 것 같아요. 신입생들이 모두 받는 자료집에 성소수자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것이 가장 중요한 성과라고 생각해요. 마지막에 춤Q와 다른 성소수자 인권단체들 소개도 간략히 넣었어요.


7. 이외에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하려고 하나요.

춤Q: 이제까지 한 활동을 정리해보면, 마레연이 마포구청 앞에서 일인 시위중인데, 저희도 춤Q 이름으로 참여했어요. 또 WCC 부산총회에 대한 보수기독교단체의 선언에 대한 인권단체의 성명서에 연명하기도 했어요.

 

춤Q: 앞으로는 ‘숨구멍Q’라는 이름으로 변날이나 큐이즈의 ‘속마음 셔틀’처럼 수업시간에이나 학교에서 동성애 혐오적인 표현을 들었을 때 교내 단체나 교수님에게 대신 메일을 보내주는 사업이나, 각자의 생애사를 다룬 글을 모아서 문집을 내보고 싶기도 하고, 마레연 예술제에도 참여해보고 싶고, 교내 상담소와 새내기 맞이 사업단과 함께 인권 가이드북을 만들어보고 싶기도 해요. 교지 서강과 인터뷰도 하고 로고 공모전도 해보고 싶어요. 여름방학 땐 이화여대 변날과 함께 퀴어이론 스터디도 해보고 싶어요. 교내 사회봉사 센터와 연계해서 청소년 멘토링도 해보고 싶구요. 교내 기관과 함께 하면 지원금도 받을 수 있으니까요. 대학원 총학생회의 성평등위원회와도 함께 사업을 해보고 싶어요.


8. 학내 분위기나 시선은 어떤가요
춤Q: 아직은 모임이 만들어진 첫 학기라 개강을 해봐야 알 것 같아요. 다만 대자보를 붙이거나 해서 모임을 가시화하는 작업은 진행할 것이고, 안 좋은 일이 터지더라도 아예 이슈가 없는 것 보단 공론화가 되는 게 훨씬 좋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마레연 현수막 사건처럼요.

 

춤Q: 다만 학내의 안 좋은 분위기를 이끌어낼 경우엔 다음에 모임을 만드는 사람이 힘들게 되는 단점은 있겠죠. 듣기로 외대에서는 대자보를 붙였는데 반응이 좋지 않아서 모임이 더 힘들어졌다고 하더라구요.

 

이주사: 꼭 붙여 놓은 현수막이나 대자보 같은 걸 찢는 애들이 있어요. 하지만 그럴 경우에 교내 여러 단체, 학내 단위와 연대하고 있다면 대응하기가 훨씬 수월한 것 같아요. 이대 변날 같은 경우에는 많은 학내 단체들이 연대하고 지지해줬기 때문에 기독교 동아리와의 갈등에서 싸울 수 있었지만 그런 지지 기반이 없는 경우엔 맞서 싸우기가 힘든 경우가 많죠. 자신감도 잃게 되고. 꼭 인권운동이 아니라 모임 홍보만 해도 홍보 포스터를 찢어 놓는 경우도 있잖아요. 사실 그런 폭력을 이슈화하고 공론화하면서 하나의 운동이 될 수도 있는 건데, 그건 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9. 학교 안에서 활동하기에 어려운 점은 없나요. 활동비가 모자라진 않은지, 동아리방은 있는지.
춤Q: 활동비가 모자라죠. 지금까지는 인권포럼 부스에서 모금한 돈과 총학에서 지원해 준 돈으로 활동했는데, 사실 아직까지는 돈이 나갈 일이 별로 없었어요. 이번에 마레연 현수막을 걸 때 들어간 돈이 가장 큰 지출이에요. 현수막을 총학과 춤Q가 하나씩 지출해서 만들었어요..


이주사: 처음 만들어지는 모임이어서 어려운 점이 있기도 한 것 같아요. 동인련 같은 제법 오래된 단체 같은 경우 이제까지 해온 활동이 있으니 사람들이 그걸 믿고 후원을 해주는 건데 처음 만들어진 모임엔 그런 게 없잖아요. 하지만 학내 단체이기 때문에 찾아보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제법 있을 것 같아요.

 

춤Q: 그리고 다음 총학이 비운동권이 당선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그렇게 될 경우 지금까지의 협조적인 총학과의 활동과는 많이 달라질 것 같아요. 다만 비협조적인 총학이 당선되더라도 함께 일할 수 있어야 하니까 총학생회 선거에서 질의를 하려고 준비하고 있어요. 유권자 운동인 셈이죠. 저희 뿐 아니라 새로 만들어지는 서강대 여성주의모임, 생활도서관과 함께 진행할 것 같아요. 한편으론 비운동권이라고 해서 성소수자 운동에 비협조적인 게 안타깝기도 해요. 사실 성정체성과 정치 성향이 꼭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닌데. ‘보수'를 표방하더라도 협조적일 수 있을텐데.

 

춤Q: 동아리방은 없어요. 있으면 좋겠지만 동아리방을 들락거리다 아웃팅을 당할 가능성도 있잖아요. 계속 논의 중이에요. 교내 생활도서관을 적극적으로 이용려고 생각하고 있어요.

 

이주사: 동아리방이란 게 예전엔 생각도 할 수 없는 것이었는데, 동아리방을 갖고자 한다는 것이 LGBT들이 삶에서 스스로를 드러내고자 욕구가 많아진 것을 의미하는 것 같아요.

 

모리: 의견인데, 미국이나 캐나다의 대학에는 GSA(Gay-straight alliance)라고 성소수자 뿐 아니라 성소수자를 지지하는 이성애자도 함께 활동할 수 있는 동아리가 많이 있어요. GSA의 좋은 점은 동아리방에 출입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꼭 동성애자인 것은 아니니까 아웃팅의 위험이 적고, 또 성소수자 모임이 폐쇄적이고 고립되면서 게토(ghetto)화 되는 문제도 극복할 수 있다는 거에요. 물론 이성애자와 함께 활동하는 게 많이 부담스러울 순 있겠지만.

 

춤Q: 실제로 여성주의모임이나 생활도서관에서 춤Q에 가입하고 싶다고 한 사람이 있었어요. 지금 가입한 사람들은 아마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겠지만 앞으로 들어올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 지 몰라서 고민 중이긴 해요. 학생 ‘자치 기구'로서 많은 퀴어들이 춤Q에 들어오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한다면, 퀴어들이 모임에 들어올 때 벽을 높이는 건 문제가 될 수 있죠.


10. 개인적으로 춤추는Q에서 해보고 싶은 일이 있다면.
봉순: 저는 춤Q에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려서 문집을 내보고 싶어요.
아넬: 전 친목을 많이 기대하고 있는데, 같이 이론 공부를 해보고 싶어요. 가시화하는 운동에도 관심이 있고.
매튜: 축제 때 알바탑을 무지개색 조명으로 꾸미기? 펀드 레이징(fund raising)도 해보고 싶어요.
미묘: 공식사업이 다 저의 욕망입니다.
반야: 공식사업들도 좋고, 동방이 생기면 동방에서 잠을 자보고 싶어요.


11. 현재의 춤추는Q 활동에서 아쉬운 점이나 고민이 있다면.
춤Q: 돈과 공간. 부와 명예? 일단은 공식 기관이 돼서 학교에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어제 만난 신입회원이 카페 진입 장벽이 너무 높다는 지적도 해 줬어요. 신입회원에겐 모임에 나오기 전에 분위기를 볼 기간이 필요한데, 지금 신입회원은 등업이 되기 전엔 카페에서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거든요.

 

이주사: 옛날엔 진입 장벽이 더 높았어요. 제가 대학모임에 처음 나올 땐 카페 같은 온라인 공간도 없었고 삐삐(호출기)로 연락해서 직접 만나 모임 대표에게 학생증 검사도 받았어요. 커뮤니티가 별로 없어서 학교 사람이 아닌 사람들도 가입하려고 했거든요. 그 뒤에 또 모임에 세 번 이상 참석해야 정회원 되고.


12. 학교 밖 단체와 함께 하는 일이 있나요. 친한 단체, 함께 해보고 싶은 일이 있다면.
춤Q: 아까 말했듯 마레연 예술제에도 함께하고 싶구요. 여름에 변날과 퀴어이론 스터디를 해보고 싶어요. 모임을 만들면서 다른 대학 성소수자 모임에 대해 조사했는데, 동인련 웹진의 대학 성소수자 모임 릴레이 인터뷰도 참고 했고, 특히 변날은 동아리방에 찾아가서 여러 조언을 듣고 오기도 했어요. 사부님 같은 존재죠.

 

춤Q: 대학모임 연대체가 있으면 좋겠어요. 변날과 한양대에서 만들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는데 아직 실질적인 행동은 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아요.

이주사: 저는 연대체가 왜 필요한지 먼저 논의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사실 같이 할 일이 있으면 연대체라는 구조가 없어도 모이게 되잖아요. 예전에 차별금지법제정 투쟁 때도 그랬고. 하지만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없으면 흐지부지 되는 것 같아요.

 

모리: 매년 다같이 모여서 인권캠프를 한다던가, 퀴어 이론 스터디를 한다는가 하는 일들을 함께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사실 메일링 리스트만 있어도 이번 WCC 연명처럼 쉽게 이름은 올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이주사: 하지만 모임을 구성하는 사람이 중요하다는 생각도 들어요. 주도적으로 활동하는 사람의 특성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 게 대학모임인 것 같아요. 또 모임이 유지가 되려면 자원이 필요한 건데, 학교 안에서도 자원이 모자란 모임끼리 모여서 같이 뭘 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죠.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많은 것 같아요.

 

춤Q: 노하우나 활동의 성과 같은 걸 공유할 수 있기만 해도 좋을 것 같아요. 어떤 사업이 효과가 좋은지 이야기 한다거나. 학교에서 안 좋은 일이 발생해도 다른 학교 모임에서 도와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같이 성명서를 낸다던가 하는 방식으로요.
 
이주사: 예전엔 아웃팅 때문에 학교에 대자보 붙이는 게 어려우니까 다른 학교 모임에서 대신 붙여주기도 했어요. 동인련에서도 중앙대에 포스터 붙이러 간 적이 있었어요.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강퀴어모임 & 서강퀴어자치연대 "춤추는Q"

Solidarity for Queer Liberation at Sogang University

Website, http://cafe.daum.net/sg.queers

E-mail, sg.queers@gmail.com

Twitter, @SG_Qu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