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V AIDS

[HIV/AIDS특별기획] 프렙은 예방을 필요로 하는 게이&MSM의 것이 될 수 있을까?

by 행성인 2022. 7. 25.

*2022년 행성인 HIV/AIDS인권팀은 HIV 노출 전 예방법 '프렙(PrEP)'세미나와 토론회를 진행하며 퀴어커뮤니티의 의약품 접근과 섹슈얼리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바탕으로 캠페인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은 행성인 회원 김민수 님의 후원으로 이뤄집니다. 

해당 원고는 7월 29일 HIV/AIDS인권팀에서 진행한 토론마당 '프렙(PrEP)은 누구의 것인가?'의 발제 내용을 요약한 결과물입니다. HIV/AIDS인권팀은 하반기에 내용을 보강하여 대중 토론회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갈릭(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HIV/AIDS인권팀)

 

제약회사 길리어드의 HIV 치료제 트루바다는 2012년 미국에서 첫 예방약으로 승인 받아 2018년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게이/MSM을 대상으로 무료로 약을 제공하는 시범사업도 진행되었다. 우리 중 일부는 이미 프렙에 참여했거나 참여하고 있다. 누군가는 프렙 확대를 위해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프렙을 경계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상충되는 시각과 커뮤니티의 경험들을 모아 모종의 담론을 빚어낼 시점이 되었다.

 

프렙을 통해 두려움을 걷어내고 마음이 편안해진 사람들이 있다. 새로운 파트너를 찾는 HIV감염인이라면, 상대가 프렙에 참여하는 비감염인일 경우 부담을 크게 덜 수 있다. 새로운 파트너를 구하는 비감염인 자신이 프렙에 참여하고 있다면, 상대의 HIV 감염 여부와 무관하게 누구든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프렙은 파트너 선택에서 긴장과 부담을 줄여주고 두려움 없는 섹스를 가능하게 한다. 데이팅 앱의 프로필에서 프렙또는 ‘(바이러스) 미검출을 발견하는 것은 HIV 예방을 감염인의 책임으로 전가하는 것과는 달리, 누구든 예방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프렙은 HIV의 과학적 현재에 대해 이해를 키우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제 감염인들은 대부분 U=U(바이러스 미검출=전파불가)를 이해하지만, 비감염인들은 이를 접할 기회가 별로 없다. 미국 MSM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정기적 HIV 검진을 받거나 프렙에 참여한 경험이 있을수록 U=U(바이러스 미검출=전파불가) 메시지를 이해하고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렙에 대해 상담하고 예방의 선택지를 고려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취약성과 대처 방안을 인식하고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여전히 커뮤니티에는 콘돔 이외의 예방과 자기 돌봄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도 많다.

 

프렙이 도입된 이후 참여자는 기대만큼 늘지 않았고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그 배경을 궁금해했다. 프렙에 대한 지식과 참여에는 격차가 있다. HIV 전파가 감소하는 집단에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프렙에 참여하고 있지만, 전파가 증가하는 집단에서는 프렙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비용을 부담할 수 없다. 미국에서 프렙은 백인들이 주로 참여하지만, 현재 신규 감염이 주로 발생하는 흑인과 히스패닉의 참여는 매우 적다.

 

프렙은 문란함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프렙은 문란함의 가능성을 열기도 하지만, 프렙을 통해서 더 이상 문란하지 않게 되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프렙을 통해서 불특정 다수 남성들과의 섹스는 더 이상 위험한섹스가 아니게 되었다. 위험과 위반에서 쾌락이 배가될 수 있었다면, 위험도 위반도 새로운 해석이 필요해졌다. 또한 게이 섹슈얼리티의 문란함에 대한 낙인을 커뮤니티 구성원들조차 수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렙은 리스크를 인정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식인 동시에, 부당하게 가해지는 낙인 때문에 취약하게 남아있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프렙은 리스크를 개인화하는 신자유주의적 관리 방식이기도 하다. 신규 감염은 개인이 리스크 관리를 통해 예방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치료가 필요해지기 전에 예방해 버린다면 정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평생 먹을 약을 조달하는 비용을 안 써도 되기 때문이다. 예방은 취약성과 커뮤니티에 대한 개입이 아니라 개인의 리스크 대처와 자원조달 능력에 달린 문제가 된다. 여전히 프렙은 커뮤니티의 자원으로 이해되지 않으며, 커뮤니티에 대한 개입은 공백으로 남아있다.

 

프렙의 확대는 제약회사와 정부의 손에 놓여 있다. 길리어드는 더 이상 HIV 치료제로 잘 쓰이지 않는 트루바다를 프렙으로 유통해 수익을 보전하려 한다. 국내 MSM 대상의 조사에 따르면, 프렙 참여 의사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여전히 너무 높다. 프렙에 대한 의사가 있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도 참여하지 않고 있다. 가난하고 주변화된 사람들일수록 HIV 예방의 선택지로서 프렙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본인부담금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는 한, 필요한 사람들에게 프렙을 권하기조차 어렵다.

 

정보와 인식, 가격 다음으로 커뮤니티의 프렙 접근성에 중요한 요인이 성소수자 친화적인 보건의료환경이다. 프렙을 처방받기 위해 비뇨기과나 감염내과를 찾는 것이 낯선 경험일 수 있다. 의료진의 성소수자 낙인에 두려움을 갖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고, 의료진이 프렙에 대해 긍정적인지도 알 수 없다. 성소수자에 특화되어 프렙을 상담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거의 없다. MSM이 자신의 섹슈얼리티와 리스크에 대해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만, 필요한 사람들이 정확한 정보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프렙을 권장하거나 거부하는 두 개의 선택지를 넘어, 프렙이 커뮤니티에 가질 수 있는 의미는 무엇이며 그 가능성이 왜 실현되지 못하는지 묻고자 했다. 지금 프렙은 누구를 위한 것이며, 누구에게 혜택을 주는가? 프렙은 취약한 사람들, HIV 전파가 많이 발생하는 집단, 리스크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활용되어야 그 목적에 가장 부합하고 커뮤니티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이들은 정보와 자원이 부족하고 프렙을 통해 자신의 리스크에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새로운 예방수단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프렙으로 예방할 수 있었음에도 그러지 못한 감염들이 있다. 콘돔을 쓰지 않는 이들, HIV를 막연히 회피하다가 리스크에 처하는 이들, 그리고 자신의 리스크를 인식하면서도 별다른 대안을 떠올리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 프렙이 있지만, 그들이 프렙에 접근하고 있는가?

 

프렙의 의의와 맥락이 적극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한다면, 그저 구매력과 정보력, 일상의 자율성이 확보된 이들에게만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커뮤니티 안팎의 취약한 상황에 개입하지 않고 개개인의 리스크 관리에만 주목한다면 예방의 불평등은 지속될 것이다.

 

여기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취약성을 사유해야 한다. “누구에게 어떻게를 물어야 한다.

 

 

참고1) 올해 한국의료지원재단은 MSM(Men who have sex with men)을 대상으로 프렙 본인부담금 6개월분의 50%를 환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2) 아이샵 홈페이지에서 프렙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ishap.org/?c=2/6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