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인 웹진

행성인 웹진

  • 전체보기
    • 행성인 활동
      • 활동 후기
      • 활동 소식
      • 활동 평가
      • 순간포착 동인련에 이런일이!
      • 웹진기획팀 편집 후기
      • [독자참여]우리동네 무지개
      • 웹진기획팀 편집장의 글
    • 인권소식
      • 국내 인권소식
      • 아이다호 데이
      • 성소수자 인권포럼
      • 해외 인권소식
      • 퀴어퍼레이드
      • Rainbow Planet:번역글
    • 회원 이야기
      • 이드의 기사 읽어주는 젠더
      • 행성인 활동가 편지
      • 회원 인터뷰
      • 여기동의 레인보우패밀리
      • 마롱 쌀롱
      • 파리 특파원 디에고
      • 오리 꽥꽥
      • 박장군의 창과 방패
      • 형태의 당신의 모든 시간
      • 재경의편지조작단
      • 조나단의 끼Look(룩)퀴錄(록)
      • 모리의 그림일기
      • 이주사의 받아쓰기
      • Ted Jennings 칼럼
      • 가브리엘의 음악속으로
      • 가브리엘의 희망
      • 정욜의 세상비틀기
      • 태성의 Melancholy
      • 병권의 성북동 무지개
      • 재성의 고고제이
      • 회원 에세이
    • 독자 기고란
      • 까까한 문화담장
    • 연대
    • 성소수자와 노동
    • 동성결혼
    • HIV AIDS
      • ICAAP10:10차 아이캅
    • 정치
      • 2012총선과성소수자
      • 교육감 선거
    • 성소수자 차별 혐오
      • 동성애 혐오
      • 차별금지법
      • 군형법 군인권
      • 학생인권조례
      • 마포구청 현수막 사건
      • 서울시민 인권헌장
      • 대전시 성평등조례
    • 청소년성소수자
      • 고 육우당
    • 성소수자와 건강
    • 성소수자와 종교
    • 성소수자와 가족
      • 성소수자 부모모임
      • 명절과 가족
      • 비범한가족이야기
    • 성적지향 · 성별정체성
      • 여성 성소수자
      • 트랜스젠더
      • 무성애
    • 무지개문화읽기
      • [김비 장편소설 연재] 우리의..
      • 렛세이LETSSAY
    • 성소수자 운동의 역사
    • 성소수자 모임
      • 대학 성소수자 모임
    • 육우당 문학상
    • 행성인 후원
      • 무지개 텃밭이란
      • 무지개 텃밭은 지금
    • 행성인 20주년
    • 웹진 과월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홈⋯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행성인 웹진

컨텐츠 검색

태그

행성인 활동가 편지 퀴어 레즈비언 에이즈 퀴어퍼레이드 동성애자인권연대 동인련 연대 청소년 성소수자 커밍아웃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gbt 트랜스젠더 육우당 성소수자 차별금지법 인권 HIV/AIDS 동성애자

최근글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
  • 행성인 5월 활동스케치
  • [논평]’원숭이 두창’을 보⋯
  • 행성인 5월 정기회원모임 후기

댓글

  • 안녕하세요~! 행성인 미디어TF는 행성인⋯
  • 미디어 tf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
  • 최근 이슈가 되는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 정신이 말랑말랑한 상태로 너무 많은 이⋯

공지사항

  • 호모포비아들에게 경고합니다.

아카이브

  • 2022/05
  • 2022/04
  • 2022/03
  • 2022/02
  • 2022/01

성소수자와 노동(60)

  • [퀴어X투쟁] 이제 서로의 마음을 포갤 시간이다 - 쿠팡 노동조합에게 우리의 마음을 보내며

    흥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 늦은 밤 주문한 물품을 이른 새벽 받아보는 일이 언제부터 가능했을까. 유통과 물류의 혁신처럼 여겨졌던 쿠팡의 ‘로켓배송’ 은 어느덧 유통·물류 업계의 필수 사업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즉 유통과 물류가 결합하면서 수요를 예측해 물류를 관리하고, 새벽배송, 익일배송, 신선식품 배송 등 소비자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배송 서비스를 전략적 무기로 삼는 이른바 ‘혁신’ 물류기업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1) 더보기 1) 박상빈, 「감염병의 시대, ‘혁신’ 물류산업이 작동하는 원리」, 『노동과 건강』 99호, 2021. 허나 ‘혁신’ 이라는 허울 좋은 수사 뒤에는 셀 수 없는 노동의 흔적이 숨겨져 있다. 어쩌면 ‘쿠팡’ 이라는 물류기업은 ‘혁신’ 이라는 포장지를..

    2022.05.23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⑧] 연속 기고를 마무리하며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번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됐고, 에 게재됩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

    2022.02.14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⑦] 저는 대학원에서 노동했던 트랜스젠더 노동자입니다.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번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됐고, 에 게재됩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

    2022.02.14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⑥ 저는 디자인 노동하는 게이이자 HIV 감염인입니다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번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됐고, 에 게재됩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

    2022.01.24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⑤] 저는 노동조합에서 활동하는 성소수자 입니다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번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됐고, 에 게재됩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

    2022.01.17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④] 저는 콜센터에서 노동하는 게이 노동자입니다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료..

    2022.01.06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③] 저는 영화 현장에서 노동했던 게이 노동자입니다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료..

    2022.01.04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②] 저는 병원에서 노동하는 레즈비언 노동자입니다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 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료..

    2021.12.28
  • [나, 성소수자 노동자 ①] 저는 공공기관에서 노동하는 레즈비언 노동자입니다

    어디에나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다양한 일터에도 성소수자는 존재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에게 성소수자 동료가 있는지 묻는다면 대부분 없다고 답할 것입니다. 당연합니다. 많은 성소수자 노동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일터에선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성소수자노동권팀은 막연한 상상 속에 가려진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생생한 언어로 기록하는 활동을 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는 현재를 살아가는 성소수자 노동자의 삶을 드러내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노동조합을 통해 현장을 바꾸고서야 비로서 나의 삶이 바뀌었듯 모두를 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동자가 함께 나서야 일터도, 우리의 삶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번 연속 기고를 통해 일터에서 성소수자 노동자 곁에 함께하는 동료가..

    2021.12.22
  • [성소수자 노동권 연속토론회 4회차 후기] HIV감염인 직장 동료, 익숙하진 않아도 평범한 생각

    성소수자 노동권 연속토론회 – 일터의 성소수자들, 노동권을 말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동합니다. 당연히 성소수자도 노동합니다. 그러나 일터에서 성소수자는 보이지 않습니다. 많은 성소수자가 혐오와 차별을 피해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드러내지 않을 뿐 성소수자들은 여전히 일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오늘도 우리는 미세먼지와 같은 혐오와 차별을 마주합니다. 차별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성소수자에게 안전한 일터를 꿈꿉니다. 그래서 이제는 노동자로서 성소수자 노동권을 말하려고 합니다. 성소수자 노동권 연속토론회는 구체적으로 무엇이 차별인지 짚고, 일터 차별의 문제를 공론화하여 성소수자 노동권의 현실과 과제를 정리하는 자리입니다. HIV감염인도 직업을 가지고 노동자로서 사회에..

    2021.12.08
1 2 3 4 ··· 6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1997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