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인 웹진

행성인 웹진

  • 전체보기
    • 행성인 활동
      • 활동 후기
      • 활동 소식
      • 활동 평가
      • 순간포착 동인련에 이런일이!
      • 웹진기획팀 편집 후기
      • [독자참여]우리동네 무지개
      • 웹진기획팀 편집장의 글
    • 인권소식
      • 국내 인권소식
      • 아이다호 데이
      • 성소수자 인권포럼
      • 해외 인권소식
      • 퀴어퍼레이드
      • Rainbow Planet:번역글
    • 회원 이야기
      • 이드의 기사 읽어주는 젠더
      • 행성인 활동가 편지
      • 회원 인터뷰
      • 여기동의 레인보우패밀리
      • 마롱 쌀롱
      • 파리 특파원 디에고
      • 오리 꽥꽥
      • 박장군의 창과 방패
      • 형태의 당신의 모든 시간
      • 재경의편지조작단
      • 조나단의 끼Look(룩)퀴錄(록)
      • 모리의 그림일기
      • 이주사의 받아쓰기
      • Ted Jennings 칼럼
      • 가브리엘의 음악속으로
      • 가브리엘의 희망
      • 정욜의 세상비틀기
      • 태성의 Melancholy
      • 병권의 성북동 무지개
      • 재성의 고고제이
      • 회원 에세이
    • 독자 기고란
      • 까까한 문화담장
    • 연대
    • 성소수자와 노동
    • 동성결혼
    • HIV AIDS
      • ICAAP10:10차 아이캅
    • 정치
      • 2012총선과성소수자
      • 교육감 선거
    • 성소수자 차별 혐오
      • 동성애 혐오
      • 차별금지법
      • 군형법 군인권
      • 학생인권조례
      • 마포구청 현수막 사건
      • 서울시민 인권헌장
      • 대전시 성평등조례
    • 청소년성소수자
      • 고 육우당
    • 성소수자와 건강
    • 성소수자와 종교
    • 성소수자와 가족
      • 성소수자 부모모임
      • 명절과 가족
      • 비범한가족이야기
    • 성적지향 · 성별정체성
      • 여성 성소수자
      • 트랜스젠더
      • 무성애
    • 무지개문화읽기
      • [김비 장편소설 연재] 우리의..
      • 렛세이LETSSAY
    • 성소수자 운동의 역사
    • 성소수자 모임
      • 대학 성소수자 모임
    • 육우당 문학상
    • 행성인 후원
      • 무지개 텃밭이란
      • 무지개 텃밭은 지금
    • 행성인 20주년
    • 웹진 과월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홈⋯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행성인 웹진

컨텐츠 검색

태그

행성인 활동가 편지 퀴어 레즈비언 에이즈 퀴어퍼레이드 동성애자인권연대 동인련 연대 청소년 성소수자 커밍아웃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lgbt 트랜스젠더 육우당 성소수자 차별금지법 인권 HIV/AIDS 동성애자

최근글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
  • 행성인 5월 활동스케치
  • [논평]’원숭이 두창’을 보⋯
  • 행성인 5월 정기회원모임 후기

댓글

  • 안녕하세요~! 행성인 미디어TF는 행성인⋯
  • 미디어 tf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
  • 최근 이슈가 되는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 정신이 말랑말랑한 상태로 너무 많은 이⋯

공지사항

  • 호모포비아들에게 경고합니다.

아카이브

  • 2022/05
  • 2022/04
  • 2022/03
  • 2022/02
  • 2022/01

청소년성소수자(86)

  • 모두에게 해피엔딩을 - 언제나 있으되 언제나 없는 이들을 기억하며

    루카(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완연한 봄인 줄만 알았습니다. 따뜻한 주말을 보냈습니다. 쾌청한 하늘 아래 무지개 깃발을 드높이고 서울 시내를 걸었습니다. 목이 쉬는 줄도 모르고 구호를 외쳤습니다. 나름의 용기를 내어 입안에서만 맴돌던 노랫말을 흥얼거리기도 했습니다. 지난 주말은 서로가 서로를 발음(發音)하는 자리였습니다. 손에는 여성이 주어임을 선연히 상기시키는 문장들이 피어났고, 어떤 재주로도 ‘반으로 나누지 못할’ 목소리가 모여 깊은 숨을 빚어냈습니다. 봄이구나. 행진을 마치고 광화문 광장을 지나며 연거푸 나지막이 발음해보았습니다. 삼월의 첫 주말이었습니다. 그로부터 며칠이 지난 뒤, 같은 옷차림으로 집을 나섰습니다. 지난 주말을 보내고 맞은 첫 외출이었습니다. 집 밖으로 나오자 세차게 부는 바람에 ..

    2017.04.13
  • [스케치] 故육우당 13주기 추모 기도회 - 성소수자 라는 이름을 가진 당신을 추모하며

    바람(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성소수자들에게 ‘추모’는 어떤 무게일까요? 엄숙해지기 쉽지만, 매년 누군가를 추모한다면 조금 더 가벼운 분위기로 먼저 떠난 이를 기억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4월이면 육우당의 기일이 돌아옵니다. 4월 25일 그를 비롯한 차별과 혐오로 가득한 세상에 희생당한 이들을 추모하는 기도회가 오후 7시 30분 향린교회에서 열렸습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청소년 성소수자 활동가였던 육우당을, 그 이후에 우리 곁을 떠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였습니다. 기도회 장소는 향린교회였습니다. 추모기도회라는 엄숙함 속에 희미한 따스한 공기가 느껴졌습니다. 여는 기도는 육우당이 생전에 쓴 시조 중 와 을 그대로 인용하여 진행했습니다. 이후 엔.소.이 밴드(엔틸드, 소오름(류아), 김이슬..

    2016.04.29
  • [스케치] 故육우당 13주기 추모 캠페인 및 문화제

    재연(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사람이 언제 죽는다고 생각하나? 심장 깊숙이 총알이 박혔을 때? 아니. 불치의 병에 걸렸을 때? 아니. 맹독 버섯 스프를 먹었을 때? 아니야! 사람들에게서 잊혀졌을 때다.” 애니메이션 에 나온 유명한 대사다. 대사가 나온 장면은 원피스의 많은 팬들에게 작중 최고의 장면 중 하나로 꼽히는데, 아마 누군가가 세상을 떠나도 그의 모습과 뜻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는 한 그 뜻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훌륭하게 표현해 내서 그럴 것이다. 2016년 4월 23일, 동성애자가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다 우리 곁을 먼저 떠난 한 사람을 기억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였다. 2016년 4월 23일 오후 2시 4월 23일의 오후,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안의 푸르른 나무..

    2016.04.29
  • 미숙한 색깔

    씨엘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청소년인권팀) 눈에 띄는 행동이나 말을 하는 것, 대다수의 사람들과 다른 선택을 하는 것 등 다수의 사람들과 비슷한 길을 걷기를 요구받는 사회 속에서 평범함을 벗어나는 사람들은 선망의 대상이 되는 동시에 불편한 존재가 됩니다. 잘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더욱 증폭 됩니다. 그 대상이 사회적 약자인 경우 불편한 감정은 조금 더 쉽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폭력을 휘두르거나 상대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겠죠. 폭력의 피해자 중 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한국에서 청소년이란 어른들이 보호 해줘야하는 미숙하고 순수한 존재이고, 성소수자는 과거에 비하면 많이 나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지나치게 관심을 갖는 포비아분들 때문에 여..

    2016.04.10
  • “동무, 인권불알 키셨습네까?” - 세 번째 모임 '지구인은 변태 중'

    기록: 에버(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청소년인권팀) 후기: 씨엘(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청소년인권팀) 참여자: 착한쌀, 에버, 씨엘, 오소리, 말발 탈학교 청소년은 일상에서 접근하기 쉽지 않은 주제인데요. 그러한 탈학교 청소년에 대한 편견 혹은 고정관념이 많을 거란 생각에 ‘지구인은 변태중’이라는 제목으로 마련한 이번 회에는 참여자가 많을 거라고 예상했습니다만, 예상보다 적은 수의 참여자가 오셔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그러나 두 탈학교 청소년 게스트와 Q&A를 진행하다보니 오히려 적은 수의 사람들이 좀 더 가깝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어서 좋은 점도 있었습니다. 씨엘: 저는 중학교를 대안학교로 갔어요. 거기서 10월까지 있다가 자퇴했고요. 지금까지 탈학교 생활을 하고 있는데 지금 현..

    2015.10.27
  • “동무, 인권불알 키셨습네까?” - 두 번째 모임 '머리에 피도 안마른 것들'

    기록: 씨엘(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청소년인권팀) 후기: 말발(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청소년인권팀) 참여자: 에버, 씨엘, 말발, 용용, 건하, 윤형, 윤친, 피망, 고미 이번 시간에는 영상물을 보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는데 3가지의 영상물(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인권실태 논란, 인권위 단편영화 사람이 되어라, 서울시 여성가족 재단, 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인권실태 보고)을 보고 간단한 소감을 나눈 뒤, 사회가 바라보는 나의 모습 그리고 사회가 바라보는 청소년의 모습에 대하여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영상을 보고나서 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인권조례의 내용과 그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 청소년 성소수자로서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서로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사회가 바라보는 나의 모습을 생각해보는..

    2015.10.26
  • “동무, 인권불알 키셨습네까?” - 첫 번째 모임 '그 시간의 나에게'

    에버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청소년 인권팀) - 일시/장소: 2015년 10월 3일(토), 4시30분~6시, 무지개텃밭 - 참여인원: 15명(청소년7명 / 비청소년8명) 청소년 인권팀에서 새롭게 기획한 프로그램 “동무, 인권불알 키셨습네까?”의 첫 번째 모임 - '그 시간의 나에게'가 10월 3일, 행성인 신입회원 모임인 ‘디딤돌’ 마무리 후 바로 진행되었다. 행성인 신입회원모임 '디딤돌' 후기 바로가기 준비되었던 프로그램에서 청소년은 10년 후의 나의 모습에게, 비청소년은 청소년기의 나를 떠올리며 편지를 썼다. 청소년은 비청소년을, 비청소년은 청소년을 바라보며 서로를 미러링 해보는 시간이었다. 편지에는 후회나 기대, 걱정이나 희망, 우울과 행복 등의 감정이 담겨 있었다. 주어진 시간이 길지 않았거니와..

    2015.10.08
  • 故육우당 12주기 이상한(恨) 연대문화제 발언 모음

    오소리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지난 4월 25일, 청소년 성소수자 故육우당 12주기를 맞아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 광화문공동행동,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의 공동주최로 가 열렸습니다. 는 세가지 주제의 이야기로 진행되었습니다. 이야기 하나. 한(恨) 혐오와 차별에 한 맺히다 이야기 둘. 이상(異常) 보통과는 다른? 달라서 아름답다 이야기 셋. 이상(理想) 차별과 혐오 없는 세상을 공동주최 단위의 회원들이 각 이야기 주제에 맞게 발언을 해주었습니다. 그 날 있었던 발언 몇가지를 여러분께 공유해드립니다. (사진으로 보고 싶다면 여길 클릭해주세요! 사진 스케치 보러가기) 이야기 하나. 한(恨) 혐오와 차별에 한 맺히다 Zinn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12년 오..

    2015.04.27
  • 청소년 성소수자 故육우당 12주기 추모행동 사진 스케치

    오소리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지난 4월 25일, 청소년 성소수자 故육우당 12주기를 맞아 혐오와 차별에 희생된 성소수자들을 기억하는 추모행동이 열렸습니다. 광화문 해치마당에서 열린 이번 추모행동은 추모기도회,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캠페인,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공동행동과 함께 하는 연대 문화제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성공회 길찾는교회, 무지개감신, 섬돌향린교회, 열린문 메트로폴리탄 공동체 교회, 차별없는세상을위한기독인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혁명기도원,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의 공동주최로 열린 가 진행되었습니다. 여는 기도로 시작된 추모기도회에서는 사람들의 노래와 연대의 기도로 광화문 해치마당을 가득 채웠습니다. 세월호 유가족 동혁군 어미님께서도 추모기도회에 함께해 주셨습니..

    2015.04.27
  • 청소년 시기를 보내거나 지나온 사람들의 이야기와 추모의 편지

    청소년 시기를 보내거나 지나온 사람들의 이야기와 추모의 편지 독자들에게 보내는 편지 바람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팀) 저는 청소년 성소수자입니다. 제가 동성애자임을 깨달은 건 14살 때였어요. 그때 저는 제가 게이라는 것도 몰랐지만 제 자신을 미워하는 마음이 커서 그런지 정체성을 부정하기도 하였죠. 저 자신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까지 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어요.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상처도 받고 사랑도 하고 그랬죠. 지금 생각해보면 3년이라는 시간은 의외로 길었어요. 지금도 가끔씩 후회가 돼요. 조금만 더 자주 성소수자라는 단어를 접했으면 빨리 정체화를 하고 자신을 혐오하는 마음이 조금은 줄지 않았을까. 제가 커뮤니티에 나온 지는 어느덧 4년이 지나가는데 2년이라는 시간 속에서 제가 아끼는 사람들이 ..

    2015.04.08
1 2 3 4 ··· 9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1997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