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성인 활동/활동 후기

[독후감] 취향 존중해 주세요, 그런데 혹시 내 취향 빻았나요? - 『섹스할 권리』를 읽고

by 행성인 2023. 5. 27.

편집자 주: 본 원고는 행성인 HIV/AIDS인권팀의 '함께 읽는 섹스' 프로그램에서 쓰인 원고입니다. 

 

 

김민지(행성인 HIV/AIDS 인권팀) 

 

7년쯤 전 친구와 연극 한 편을 봤다. 지체장애인 사춘기 소년의 이야기를 다룬 연극 킬 미 나우에서 주인공은 말한다. ‘나도 섹스하고 싶다’. 유일한 보호자인 아버지는 그런 아들의 자위를 도와주다가, 나중에는 이해심이 많은’ 성노동자 여성이 주인공을 돕게’ 된다. 

 

섹스할 권리의 초반부를 보면서는 이 연극이 떠올랐다. 아미아 스라니바산은 섹스할 권리란 없다고 말한다. 섹스란 샌드위치를 나눠 먹는 것과 달라, 섹스는 섹스이며, 그 누구도 섹스를 나도 (남들처럼) 누려야 하는데 어째서인지 누리지 못하는’ 권리처럼 받아들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수 년간 매년 수 만 번씩은 지적되어 온 한국 남자의 성적 권리의식-남성에게는 섹스할 권리, 강제로 섹스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확신-을 생각하면 이 이야기는 너무나 명쾌하고 깔끔하다. 그러나 여기서 끝인가? 모든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사람(들)과 섹스하면 과연 세상은 아름다워질 것인가? 작가는 명쾌하고 깔끔한 결론에서 멈추지 않고, 이어서 다른 문제를 제기한다.

 

 

우리의 욕망은 과연 자연적인가? 성적 활동에 있어서 개인의 취향을 존중해줘야 한다면 그 취향은 어디에서 왔는가? 섹스하고 싶지만 할 수 없어서 억울한 남자들은 어떤’ 섹스를 원했는가? 그들이 상상한 상대방은 어떻고, 왜 거기에서 거진 천편일률적인 성적으로 매력적인 여성의 모습이 나타나는가? ‘매력적인 사람이라는 취향은 과연 우리 생각만큼 자연적인 것인가?

 

인종, 외모, 장애 등등에 의해 계급화된 매력도 등급표에 대한 지적에서부터 나는 내 정체성을 생각했다. 우리는 오랜 시간 동안 LGBT는 그렇게 태어난 것이라고 이야기 해 왔다. 우리의 정체성은 타고 나서 자연적인 것이고, 우리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잘 알고 있으며, 늘 일관적으로 그래 왔고, 바꾸고 싶어도 바꿀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에 늘 형체 없는 의문을 가지던 나는 몇 년 전 켄지 요시노의 책 『커버링』을 통해 처음으로 여기에 대한 의문을 접했다. “중요한 질문은 우리의 정체성을 바꿀 수 있느냐가 아니라 왜 바꾸어야 하느냐이다. 나를 다른 방향에서 생각하게 된 질문이었다. 그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 보면, 이제 섹스할 권리에서 누구를 원하는가에 대한 욕망이 자연적인지 아닌지는 더 생각할 필요가 없으며, 중요한 것은 내가 누구를 원하는지에 대한 욕망을 바꿀 필요가 있는가이다.

 

나는 많은 고민을 거쳐 내 정체성을 확립했으나 이것이 나를 구성하는 본질이며 앞으로도 쭉 바뀌지 않고 영원할 것이라는 생각은 별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LGBT 사람들에게 정체성이란 억압적인 사회에서 너무나 어렵게 지켜 온 것이며, 자기 자신의 본질이라 결코 바꿀 수 없다고 느낀다는 점을 안다. 성지향성에서 나의 정체성과도 그대로 이어지는 취향의 이야기라면 또 어떤가. 내 취향은 살아오며 정말로 많이 바뀌었고, 앞으로도 아마 쭉 지금과 마냥 똑같지는 않을 것 같지만, 내게도 명확한 취향이 있다. 나는 동양인 여자(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를 좋아하고 타 인종이라는 생각이 드는 사람들은 연예인으로서 흠모하고 우상화할지언정 욕망을 느끼지 않는다. 내 성애는 성별화되어 있고, 어느 정도 인종화되어 있는 셈이다. 장애인에게 욕망을 느껴 본 적도 없다. 내 성애는 장애인 차별적(ableism)이기도 한 것 같다. 어떤 사람은 좋아하고 어떤 사람은 아니며, 많은 부분에서 사회에서 대체적으로 합의된 매력적인 여성을 선망하는 나의 욕망은 정의롭지 못한가? 나는, 우리는 욕망을 훈련해야 하는가?

 

작가는 수 차례에 걸쳐서 자신의 주장이 정의라는 이름으로 욕망을 규제하려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이것이야말로 억압에 따른 왜곡으로부터 욕망을 자유롭게 하자는 상상이라고 말한다. 그는 비주류 인종, 비만 등 매력적이지 않다고 느껴졌던 몸들을 재평가하는 자기 긍정(Body positivity)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주입되어온 억압, 어떤 몸이 가치 있는지에 대해 훈련되어온 목소리를 잠재워 보자고도 말한다.

 

작가는 한국에서 이런 일이 있었는지는 까맣게 모르고 있겠지만 나는 책 속의 여러 사례를 보며수 년 동안 한국 LGBT 및 소수자 인권 이슈에서 대단한 논란거리가 되었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논쟁이 생각났다. 한국의 사례는 아니지만 마침 작가가 그 이야기를 짚고 있었다. 3장 섹스할 권리에서 정치적 레즈비어니즘은 여성이 남성을, 그리고 섹스를 어떻게 보느냐에 대한 역사적 관점의 하나로서 등장했는데, ‘동성애 혐오적인 페미니스트들과의 마찰과 안티섹스(안티-이성애 섹스?)운동의 일환으로 등장했다가 교차성의 대두로 주류와 멀어지는 과정이 정리되었다. 이렇게 짧게 다루어진 후 더 언급되지 않을 것 같은 정치적 레즈비어니즘은 4장 욕망의 정치에서 다시 등장하는데, 이번에는 이성애야말로 인간 삶의 기본 형태라는 이성애 정치 제도 하에서 이성애에 의문을 가져 보라고 이성애자 여성들에게 권유하는 에세이가 소개된다. 이성애 선호에서 선호란 상당히 의심스러운 지점이며, 강요되고 관리되고 조직되고 선전되고 유지되어 왔던 무언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실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운동이 한국에서 대두될 당시 내가 가졌던 생각과도 비슷했다. 이성애자인 줄 알고 살았겠지만 다시 한번 이성애자가 맞는지 잘 생각해 보라(?)는 운동은 LGBT로서 나쁠 것이 없지 않나? 누군가는 LGBT를 이성애자의 연애 실험용으로 쓰고 도로 이성애로 돌아가는 거라면서 싫어했고 그런 주장이 납득도 갔지만, 나는 꽤 긍정적인 편이었다. 흔히 팬픽이반으로 불리던 우리 세대의 많은 사람들이 지금은 철들어서’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지만, 또 많은 레즈비언들이 아직 남아 번개에서 옛날얘기가 나오면 그때 재밌었지’ 라며 그 시절을 추억하는 까닭이다. 누군가는 철들어서’ 정치적 레즈비언을 그만두겠지만, 누군가는 남아서 그렇게 레즈판에 들어왔지’ ‘그때 재밌었지를 말하게 되지 않을까. 그러면 좋은 것 아닐까. (덧붙이자면 내가 결국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운동 지향의 주류를 견딜 수 없어진 부분은 정치적 레즈비언임을 주장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플러팅 금지’ ‘여자가 하는 플러팅이 불쾌하다’ ‘레즈 한남같다’ 등의 이야기가 시작되었을 때였다. 아니, 레즈비언이고 싶으면 육체관계, 섹스, 애무, 플러팅도 좀 받아들이지 그러시는가?)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욕망을 재고하자는 작가의 주장에 욕망에 대한 검열’ ‘훈계질’ ‘권위주의적 도덕주의’ 등의 표현으로 반대했다. 사람들의 취향에는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이 있지만 거기에 대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단호하게 반대하는 페미니스트들 역시 소개되었다. 나는 그들 또한 이해한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내 취향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으나, 여전히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과 성적인 관계를 갖고 싶지 않으며, 누군가가 나에게 욕망의 정치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며 내가 원치 않는 사람과의 성적 행위를 제안하면 아주아주 기분이 나쁠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욕망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때로 훈련해보자는 작가의 이야기가 좋다. 나 스스로 욕망을 훈련해 지금은 주변화되어 있지만 알고 나면 너무나 매력적인 사람들을 더 만나고 싶다. 비만 여성으로서 나 자신을 위해서라도 나는 레즈비언들이 자신의 욕망을 훈련해 보았으면 좋겠다. 레즈비언으로서 여성들이 욕망을 훈련해 보았으면 좋겠다. 해서 안 되면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만약 욕망의 지평선을 넓힐 수 있다면 모두에게 좋은 일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