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38 육우당 문학상 우수작 - 그렇게 우리의 시간은 익지 못했다. 그렇게 우리의 시간은 익지 못했다. 양진솔 1. 연락을 끊었다. 이곳으로 오며 한국에서 알고 지냈던 대다수와. 하지만 몇몇은 남겨두기로 했다. 그렇게 정리하고 정리해서 남겨둔 이들의 대략 120명에서 20~30명으로 팍 줄어버렸다. 알고 지내도 별 상관없는 사람들이 100여명이라니, 지우는 내내 신기하고 허탈해 웃음이 새어 나왔다. 그렇게 주소록을 정리하다 보니 애매한 번호들이 몇 개 남고 말았다. 아, 이 번호들을 지워야 할지, 아니면 그냥 놔둬야 할지.. ‘삭제’에 대한 확인을 승낙하기가 어렵다. 겨우 번호 몇 개 때문에. 나는 그 번호들의 주인들을 찬찬히 떠올렸다. 그렇게 찬찬히 되새겨 보니 지우는 번호가 또 늘었다. 그러다 보니 또 줄어든 번호들을 보며 난 손톱을 자근자근 씹었다. 가족도 아니고 .. 2014. 4. 30. 육우당 문학상 우수작 - 물감옥 물감옥 비로 나는 너를 보고 있다. 5월, 축제가 있는 계절. 분주히 오가는 사람들 사이로 너는 굼뜨게 움직이는 중이다. 느릿느릿. 팔을 활짝 벌려 벽을 한 번 껴안았다가 떨어진다. 벽보가 삐뚤지 않게 제대로 붙었나 눈으로 가늠한다. 나는 사람이 콸콸 쏟아져 흐르는 학생회관 통로 한가운데 서서 그런 너를 보고 있다. 너의 얄팍한 윤곽을, 좁은 어깨를, 균형이 기운 골반을 본다. 인파가 어깨를 치고 스쳐간다. 숨쉴 틈 없이 밀려오는 사람들의 체취를 비집고 어디선가 비릿한 향이 풍겨 온다. 돌아선 그 애도 나를 알아 보았다. 향은 너에게서 온다. 독 같은 달콤함으로, 속이 메슥거린다. 네 뒤로 압정이 빠진 종이 한 귀퉁이가 덜렁거리는 게 보인다. 「안녕하세요 저는 성소수자입니다……」 고해 같은 글자가 고개를.. 2014. 4. 30. [420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장애인권운동을 만나다 좌담회 참석자: 이주사, 덕현, 웅(동성애자인권연대), 윤경, 양유진, 김유미, 명희, 박나윤, 수원, 다온(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글: 이주사 4월 20일은 정부가 지정한 ‘장애인의 날’이다. 통계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 날이었던 4월 20일을 ‘재활의 날’로 정한 것이 시작이었다고 한다. 장애인운동은 장애인을 그저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바라보며 생색내기식 하루 행사를 치루는 데에 머무르던 이 날을 거부하고 2002년부터 4월 20일을 ‘장애인차별철폐 투쟁의 날’로 선언하고 투쟁하기 시작했다. 동인련은 200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420투쟁에 연대해왔다. 올해에도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에 참여하고 4월 19일에는 10여 명의 회원들이 420 문화제에 함께했다. 웹진 ‘랑’은 420을 맞.. 2014. 4. 30. 국립국어원에 평등한 사랑, '같은 사랑'을 요구하는 권예하 씨를 만나다! 인터뷰 한 사람: 종원, 한빛(동성애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인터뷰 받은 사람: 권예하(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4학년) 최근 국립국어원이 보수 기독교계의 압력에 굴복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사랑’, ‘연애’, ‘애정’의 뜻풀이를 이성애로 다시 한정하는 결정을 내렸다. 국립국어원은 지난 2012년 말에 “이성애 중심적 언어가 성소수자 차별을 낳는다”는 대학생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표준국어대사전의 ‘사랑’에 대한 뜻풀이를 ‘이성의 상대에게 끌려 열렬히 좋아하는 마음 또는 그 마음의 상태’에서 ‘어떤 상대의 매력에 끌려 열렬히 그리워하거나 좋아하는 마음’으로 바꾼 바 있다. 그러나 보수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항의가 벌어지자 국립국어원은 2014년 1월 말에 뜻풀이 재개정을 통해 사랑을 다시 이성애로 한정해 버렸다. .. 2014. 4. 30. [HIV/AIDS 월간 세미나] 혐오의 논리 - 동성애와 에이즈 동인련 HIV/AIDS인권팀은 2014년 4월부터 매달 1회씩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첫 번째 주제는 ‘동성애와 에이즈 혐오’입니다. 세미나는 두 개의 발제와 논의들로 구성됩니다. 먼저 웅의 는 동성애와 에이즈를 두루 엮는 혐오의 논리를 개관합니다. 그리고 재성의 는 근래 한국사회 에이즈와 동성애혐오발언과 캠페인을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합니다. 여기에 두 편의 발제문을 다듬어 기고합니다. 웅(동성애자인권연대 HIV/AIDS 인권팀) 질병의 은유 HIV/AIDS는 발견되기 직후부터 과장된 단어들로 수식되어왔다. 단적인 예가 ‘숙명론’적인 묘사이다. 이른바 의학이 역병을 지배할 수 있는 완성단계에 이르기 직전 에이즈가 창궐했다는 것이다. 또는 스톤월항쟁 이후 정치적 역량을 키워온 성소수자 커뮤니티에서.. 2014. 4. 30. [HIV/AIDS 월간 세미나] 호모포비아 광고에서 발견되는 혐오 수사와 그 정점의 AIDS 동인련 HIV/AIDS인권팀은 2014년 4월부터 매달 1회씩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첫 번째 주제는 ‘동성애와 에이즈 혐오’입니다. 세미나는 두 개의 발제와 논의들로 구성됩니다. 먼저 웅의 는 동성애와 에이즈를 두루 엮는 혐오의 논리를 개관합니다. 그리고 재성의 는 근래 한국사회 에이즈와 동성애혐오발언과 캠페인을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합니다. 여기에 두 편의 발제문을 다듬어 기고합니다. 재성(동성애자인권연대 HIV/AIDS 인권팀) 2010년, 드라마 는 그 동안 우리 사회의 이면에 감추어져 있었던 호모포비아의 실체를 표면으로 드러내는 사건이 되었다. ‘바른 성문화를 위한 국민연합’을 필두로 한 호모포비아 세력들이 국내 주요 일간지에 호모포비아 광고를 대대적으로 전개함으로써 그 동안 사회에서 금.. 2014. 4. 30. 지난 6년간 전국민의 21% 동성애 지지자로 돌아섰다 - 전세계에서 한국이 가장 빠른 변화율 보여 모리 (동성애자인권연대) 성소수자 혐오자들은 "국민의 대다수가 반대하는 동성애"라는 말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를 조장하곤 하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국제 여론조사 연구기관인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에서 조사해 발표한 보고서 “동성애에 대한 국제적 인식차(The Global Divide on Homosexuality)”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3년까지 6년 동안 "사회가 동성애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대답한 비율이 전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한 나라는 바로 대한민국이라고 한다. 2007년 18%에서 2013년 39%로 무려 21%나 증가했는데, 2위인 미국(11% 증가), 3위인 스페인(10% 증가)과 큰 격차가 있는 숫자다. 물론 이 같은 결과.. 2014. 4. 30. 4월의 공연관람기- ‘바후차라마타: Beyond Binary’, ‘BENT’ 웅(동성애자인권연대) 4월 한 달 동안 공연계에는 성소수자를 주제로 하는 두 편의 작품들이 선보였다. (이하 )와 가 그들이다. 한편은 창작극이고, 다른 한편은 원작을 갖고 있는 작품이다. 더불어 한편은 인도를, 다른 한편은 나치시대 독일을 배경으로 한다. 그런 점에서 둘의 감상 포인트는 다르다. 하지만 작품들을 보고 나니 둘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는 것이 무리 되지는 않을 것 같다. 특히 작품들이 성소수자를 어떤 관점과 형식으로 재현하고 있는지, 어떤 메시지를 만들어내는가를 살펴볼 수 있는데, 이는 성소수자가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방식부터 재현되는 양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결고리를 논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경계 ‘안’에서 바라보는 경계 ‘너머’- 공연제목 때문일까? 는 공연을 소개하는 글마다 히즈.. 2014. 4. 30. [LETSSAY] 4월의 렛세이 렛세이어 달 악세사리. 나는 악세사리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몸이다. 귀는 뚫었지만 귀걸이는 하지 못한다. 실리콘이나 플라스틱이 아닌 이상 벌겋게 부어오르기 때문이다. 애초에 이물감 자체를 좋아하지 않음에 귀걸이는 나와 거리가 멀다. 같은 이유로 목걸이도 꺼려진다. 십대에 접어들기도 전에는 십자고상이 달린 금목걸이를 차고 다녔던 것 같은데, 어느 순간부터 벗어버렸다. 머리핀은 제대로 하는 법도 모르고 성가시다. 머리끈이야 검은 고무줄이면 된다. 악세사리라기에는 너무 실용적이기도 하고. 팔찌역시 귀찮음 때문에 거리를 두게 되었고, 자거나 씻을 때도 풀러놓지 않는 손목시계만이 자리를 지킨다. 반지, 반지 역시 성가시다. 반지. 내가 살면서 끼우고 다녔다고 기억하는 반지는 두 개 뿐이다. 어린 시절 대모님이 사.. 2014. 4. 30. 이전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