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38 전세계 자긍심행진 훑어보기 이주사(동인련 웹진기획팀)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자긍심행진은 현대 성소수자 운동의 탄생을 알린 스톤월 항쟁을 기념하기 위해 시작됐다. 1969년 11월 크레이그 로드웰을 비롯한 동성애자 운동 활동가들이 스톤월 항쟁을 기념해 매년 6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뉴욕에서 ‘크리스토퍼 거리 해방의 날’ 집회를 열고 다른 지역에서도 같은 행사를 갖자고 제안한 것을 계기로 1970년 6월 뉴욕,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등지에서 최초의 동성애자 행진이 벌어졌다. 급진적 분위기가 유지되던 70년대에 행진은 “동성애자 해방 행진”, “동성애자 자유 행진”으로 불리다가 80년대 들어서면서 “자긍심 행진”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세계 각지에서 성소수자 운동이 성장하면서 확산됐다. 오늘날 일부 국가에서 자긍심행진은 수만 명이.. 2012. 5. 25. 사진으로 돌아보는 퀴어퍼레이드 속 동인련 서리(동인련 웹진기획팀) 퀴어문화축제는 2000년을 시작으로 매해 개최된 성소수자 축제로, 기간 중 서울LGBT영화제, 퀴어퍼레이드 및 파티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리게 된다. 특히 퀴어퍼레이드 당일에는 성소수자 관련 단체들이 가판을 통해 홍보, 전시 등을 진행하고, 공연과 거리 행진을 한다. 올해 퀴어문화축제는 5월 24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되며, 마지막 날인 6월 2일에는 청계천2가에 위치한 을지한빛광장에서 퀴어퍼레이드가 열린다. 동성애자인권연대는 2000년 첫 퀴어퍼레이드를 시작으로 매년 참가해왔다. 본 글에서는 당시 사진들을 통해 동성애자인권연대가 그 곳에서 무엇을 이야기했는지 읽어보고자 했다. 각 사진에는 참가단의 이름, 행진에 사용된 구호들을 중심으로 하여, 당시 상황을 비교하는 간략한 설명을.. 2012. 5. 24. 그대는 그대의 자유를 위해 무엇을 했는가 모리(동인련 웹진기획팀) 1785년 공리주의의 창시자 제레미 벤담이 영국에서 최초로 동성애 합법화를 주장 1791년 프랑스 혁명후 새로 채택한 형법에서 동성애를 범죄 목록에서 제외. 프랑스는 상호합의된 동성애를 합법화한 첫번째 서유럽 국가가 되다. 1800년대 초. 레즈비언에 대한 최초의 연구가 책으로 출판되다. 1828년 “자연에 거스르는 죄”라는 문구가 미국 형사법전에서 처음 쓰이다. 1867년 8월 29일. 칼 하인리히 울리히(Karl Heinrich Ulrich)가 독일 법조인 회의(Congress of German Jurists)에서 공개적으로 반동성애법의 폐지를 촉구하다. 1869년 동성애(homosexuality)라는 단어가 출판물에 처음 나타나다. 1870년 동성애 관계를 다룬 첫 미국 소.. 2012. 5. 24. 성소수자 혐오는 폭력이다! 아이다호 캠페인 열려 5월 12일 토요일, 아이다호 데이 걷기 캠페인 ‘걸어다니는 커밍아웃’이 성소수자 차별 반대 무지개 행동의 주최로 서울 일대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캠페인은 성소수자 차별과 혐오는 폭력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행사로 성소수자와 성소수자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동성애자인권연대, 한국게이인권단체 친구사이, 언니네트워크와 많은 개인들이 캠페인에 참가하여 다양한 퍼포먼스를 벌였습니다. 참가자들과 참가 단체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이나 특정지역에서 출발하여 인사동 북인사마당에서 모인 후 청계광장까지 행진 후 이번 행사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아이다호 데이,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아이다호 데이,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DAHO, 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 2012. 5. 24. 트랜스젠더의 흔한 삶의 단상 현(이승현)(전 트랜스젠더인권활동단체 ‘지렁이’ 활동가) 트랜스젠더와 관련된 전반적인 이야기에 대한 기고를 부탁받고 어떻게 써야 할까 많이 고민했습니다. 2007년 ‘트랜스젠더인권활동단체 지렁이’의 1주년 행사 이름이 ‘트랜스젠더의 복잡다단함’이었듯이, 두세 페이지로 전달하기도, 한 사람이 전달하기도 쉽지 않고 그것은 5년이 지난 지금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이 글은 많은 분들의 피드백이 있어야 비로소 완성(?)될 수 있음을 전제하고 싶습니다. 1. 내가 나를 설명하고 명명할 수 있기까지의 시간들 기억이 정확하게 나지 않는 언젠가부터 내가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을 혹은 자신에 대한 ‘위화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주위에서 나를 지칭하는 성별이, 나라고 지칭되고 있는 몸이, 내가 느끼는.. 2012. 5. 6. [인터뷰]제시카, 성별정정을 축하해! 인터뷰/정리 : 유결(동성애자인권연대 회원) 작년 태국에서 성전환수술을 받고 돌아와 올 봄에 성별정정이 된 제시카란 친구가 있습니다. 故육우당이 동인련에 데리고 온 친구였지요. 열일곱 나이에 홀로 서울에 올라와 일을 하며 돈을 모아서 결국 성전환수술까지 하고, 이번엔 성별정정도 통과되었습니다. 성별정정을 축하하며 늦은 일요일 오후에 카레를 먹으며 수다 떤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성별정정 되고 나서 좋은 게 뭐가 있어?” “남자들을 만나도 어제는 당당하게 지갑을 확 던져놓고 만났잖아. 너무 좋더라니까. 어딜 가도 클럽 갈 때도 입장할 때 신분증 내놓으래길래 당당하게 보여줬지.” “성별 바뀌고 나서 해보고 싶은 거 있어?” “내가 국회의원 해볼까? 돈 많아야 되나? 우리나라에서 제일 어린 국회의원이 몇 살.. 2012. 5. 6. 남자도 여자도 아닌 몸을 만들어놨어 이 글은 통합진보당 기관지 에 기고한 글을 재구성하였습니다. 정민석(동성애자인권연대 회원, 통합진보당 성소수자위원회 위원장) 4.11 총선으로 전국이 들썩이고 있을 즈음 한 통의 상담전화를 받았다. 수술실패. 그것도 성전환 수술이었다.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하게 남자도 여자도 아닌 몸을 만들어놨어” 그녀의 상담은 이 말을 계속 되풀이하고 있었다. 내 몸과 싸운다. 상담을 의뢰한 소희(가명)씨는 MTF(male to female) 트랜스젠더다. MTF 트랜스젠더는 태어날 때 부여받은 성(性)은 남성이지만 여성으로 인지하고 살아가고 있는 이들을 말한다. 그 반대는 FTM(female to male) 트랜스젠더, 즉 여성의 성을 부여받았지만 남성으로 인지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들 모두에게 성전환 수술이.. 2012. 5. 6. 성소수자들은 왜 강정마을에 갔을까? (* 질문의 정답은 글 말미에 나오니 전문을 읽으시면 좋습니다) 달꿈(동성애자인권연대 성소수자노동권팀) 참가단은 3월 31일~4월 2일 동안 강정마을에 들어설 해군기지를 반대하고 강정의 평화를 바라는 마음으로 강정마을에 방문했다. 강정마을에 걸 현수막과 여러 성소수자단체와 개인들의 후원금을 가지고 말이다. 이 글은 총 이틀간의 ‘여행’ 같았던, 아주 짧은 견학문일지도 모르겠다. 이틀간의 기억을 나열할 수는 있지만, 그래서 이곳에서 느낀 감응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조금은 혼란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가고 싶었지만 함께 가지 못했던 많은 동인련 회원들에게 우리가 강정마을에서 했던 활동들과, 내가 보았던 강정마을의 기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1. 강정마을 견문기 3월 31일 토요일.이른 시간에 김포공항.. 2012. 5. 6. 봄보다, 꽃보다 아름다웠던 ‘청소년 성소수자 무지개 봄꽃 피우다’ 거리 캠페인 모리(동성애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비가 많이 내렸던 4월 22일 일요일.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앞에서는 올해로 네 번째를 맞는 ‘청소년 성소수자, 무지개 봄꽃을 피우다' 거리 캠페인이 열렸습니다. 동인련에 가입하고, 웹진팀으로서의 첫 활동을 가게 된 청소년 캠페인 취재. 전날부터 내리던 비는 그날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대체 비는 왜 내리는 걸까요. 아쉬움 반 기대 반인 마음으로 대학로로 향하는 4호선을 탔습니다. 전날 청소년자긍심팀에서 캠페인 준비에 도움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가지 못해서, 미안한 마음에 조금이라도 일찍 가서 준비를 돕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밥은 먹고 가야지’하며 밍기적거리고 나니 고작 40분 먼저 도착. 도착하니 이미 많은 분들이 와 계셨습니다. 내리는 비를 가려 줄 천막을 치고, 홍보.. 2012. 5. 6. 이전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