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38

우리의 우울에 입맞춤 |17. 산 - 생(生), 이름이 없는 長篇小說 金 飛 17. 산 - 생(生), 이름이 없는 나의 생에는 이름이 없었다. 이름을 말할 수 있는 그들이 나는 부러웠다. 이름이 없기 때문이 아니란 것도 알고 있다. 언제든 입을 벌려 쏟아내기만 하면 나의 생은 몇 개의 글자로 각인되어 더 이상 흐릿하고 모호한 삶은 아닐 것이다. 안다, 나는 안다. 그런데도 이름이 없거나 불리기 쉽지 않은 그 이름을 알고 있다고 말하는 그들이, 나는 꽤나 부러웠다. 자꾸 잠이 쏟아졌다. 여러 개의 손이 뒷덜미를 끌어당기는 듯 계속 침대 위에 눕고만 싶었다. 오랜만이었다. 사랑 덕분에 조금씩 그 무기력의 공동(空洞)으로부터 벗어나고 있다고 믿었는데, 나는 반환점을 돈 사람처럼 다시 또 아래로 휘어진 어느 경사길을 빠르게 미끄러져 내려가고 있었다. 그녀에게는 말하지 않.. 2015. 3. 29.
326 장애빈민대회, 제11회 전국장애인대회 사진 스케치 오소리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3월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에 이어 가 열렸습니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도 무지개 깃발을 들고 여기에 함께 하였습니다. 대회에 참가한 사람들은 '부양의무제 폐지'와 '장애등급제 폐지'를 촉구하며 "장애인과 빈민 모두 인간답게 사는 세상을 원한다"고 호소했습니다. 이 날 행사에서는 각종 부스들이 개최되었고, 가난과 차별로 죽어간 이들을 기리는 추모제가 진행 되었습니다. 가난한 삶은 목숨을 걸어야 하는 죽음의 사회입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가난 때문에 그리고 차별 때문에 차라리 죽음을 선택하는 한국. "더 이상 죽이지 마라! 가난한 이들도 인간답게 살고 싶다." 장애빈민대회에서 구호가 울려퍼집니다. 성소수자들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저 있는 그대로 사는 것이.. 2015. 3. 26.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 활동가 편지 - 호림(운영위원장) 호림(행성인 운영위원장) [편집자 주] 이번주부터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운영위원들이 매주 돌아가며 활동가 편지를 씁니다. 활동가 편지는 각자 소속된 팀이나 모임의 활동 소개, 고민, 논평들을 담을 계획입니다. 행성인 활동가들의 목소리에 따뜻한 관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올해의 첫 활동가 편지입니다. 저는 2015년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행성인)의 신임 공동 운영위원장을 맡은 호림입니다. 지난 주말에는 무지개행동의 2015 LGBTI 인권포럼이 서강대학교에서 열렸습니다. 가족과 결혼, 축제, 청소년, 자살예방, 혐오 등 다양한 주제를 담은 세션들이 진행되었고, 여러 단체가 부스 행사를 통해 참여자 여러분을 만났습니다. 무엇보다도 지난 2014년 12월 무지개 농성을 통해 확인한 힘을 통해 앞.. 2015. 3. 24.
무지개 농성단, 제4회 천주교 인권위원회 이돈명 인권상 수상 글: 종원(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사진: 마루(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지난 3월 19일 서울 명동 가톨릭회관에서 열린 천주교 인권위원회 후원의 밤 행사에서 '무지개 농성단'이 제4회 이돈명 인권상을 받았다. 천주교 인권위원회는 성소수자 인권 보장, 서울시민 인권헌장 선포 등을 요구하며 서울시청에서 농성을 진행했던 무지개 농성단이 "지난 연말 서울시청 본관 로비에서 차별과 혐오에 저항하며 양보할 수 없는 인권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우리 사회에 일깨워 줬다"고 강조했다. 무지개 농성단은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등 성소수자 단체, 인권 단체, 개인 등으로 구성된 농성단이다. 이들은 2014년 말 서울시민 인권헌장 제정을 거부한 서울시와 박원순 시장에 맞서 12월 6일부터 11일까지 .. 2015. 3. 24.
국내 퀴어 팟캐스트 디제이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2편 어나더미, 바람(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최근 몇 년 동안 퀴어 관련 콘텐츠들이 증가했습니다. 최근 1~2년 동안 각광받는 콘텐츠는 바로 '퀴어 팟캐스트'입니다. 말 그대로 퀴어들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방송입니다. 청취자들과 가깝게 이야기와 감정을 공유하는 퀴어 팟캐스트 디제이분들을 모시고 인터뷰를 진행 했습니다. #3 - 보리 은 따뜻한 팟캐스트 방송입니다. 2014년 4월에 시작했으며 2015년 3월 현재 15화까지 업로드 되었습니다. http://www.podbbang.com/ch/7447 방송이 진행되는 전체적인 방향이나 포맷은 어떻게 되시나요? 팟캐스트 구성은 오프닝 멘트, 오프닝 곡, (아무도 궁금해 하지 않는) 보리의 근황, 토크, 엔딩 멘트, 엔딩 곡이에요. 전체적인 분위기를 생각.. 2015. 3. 22.
우리의 우울에 입맞춤 | 16. 데리다 - 디페랑스, 세상에 없는 長篇小說 金 飛 16. 데리다 - 디페랑스, 세상에 없는 "뭐야, 이 분위기? 다들 왜 이래, 재미없게?" "조용히 있어, 너는. 그래도 처음 만나는 자리인데 평소처럼 끼 떨고 그러는 모습 보이고 싶냐? 오늘은 좀 점잖게 잠자코 있어." "어머머, 이 언니 오늘 따라 왜 이렇게 땍땍하게 굴어? 그런다고 언니의 기갈이 감춰질 수 있을 것 같애? 그런다고 감춰질 거였으면 언니가 이 바닥에 이렇게 오픈해서 나올 수 있었겠어? 일반들 사이에서 포비아인 척하며 살지. 형 외모만 보면 완전 성질 더러운 포비아같애, 그거 알아?" "이게 정말? 오늘은 쫌 그만하자, 응? 새로 오셨잖아, 새로! 그러니까 우리 모임을 위해서도 그런 모습을 보이면 좀 그렇잖니, 안 그러냐?" "아야야, 왜 발을 밟아? 씨, 우리 원래 이.. 2015. 3. 22.
'세계 인종 차별 철폐의 날' 맞이 집회 참가 후기 소유(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어제는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이었다.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 이후 유엔에서 제정한 기념일이라고 한다. 사실 내게 인종차별이란 말은 쉽지만 친숙한 말은 아니다. 그간 신문에 인종차별이란 말을 자주 보긴 했지만 그건 주로 미국 등에서 일어나는 '인종 갈등'에 대한 상식이나, 해외에서 한민족의 위상을 드높이는 선수나 동포들이 어떤 식으로 차별을 받았는지에 대한 분개할 만한 사례들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에 무슨 그런 게 있어? 인종차별이란 백인이 흑인이나 아시아인에게 하는 그런 거 아냐? 그러나 차별이란 가하는 입장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생각해보면 나는 '이주민 혐오'란 이름으로는 이미 여러 사례를 알고 있다. 유명 뮤직비디오에 출연한 베트남 출신 .. 2015. 3. 22.
핑크 하켄 크로이츠 재성(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매년 6월이 되면, 우리는 거리로 나가 우리만의 방식으로 '성소수자 차별 철폐'를 외칩니다. 대부분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을 가족들에게까지 비밀로 해야 하고, 직장에서도 정체성으로 구설수에 오르지 않도록 보안을 유지해야 하죠. 그러다가 1년에 한 번 거리로 나와도 또 이게 녹록치 않습니다. 그 거리에서 우리는 어쩌면 살면서 들을 수 있는 거의 모든 욕과 비아냥을 들어야 할 지도 모르기 때문이죠. 시드니와 샌프란시스코의 퍼레이드는 그 도시의 대표적인 축제가 되었지만, 세계 6위의 도시 경쟁력을 가진, 세계에서 세 번째로 거대한 수도권인 이곳은 그렇지 않습니다. 거리에 서면, 우리가 사회에서 차별받는 존재라는 사실을 너무도 뼈저리게 느낄 수 있죠. 그렇습니다. 우리는 한국 사회에.. 2015. 3. 22.
무지개 깃발과 함께한 '세계 인종 차별 철폐의 날' 맞이 집회 사진 스케치 종원(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기획팀) 오늘 3월 21일은 세계 인종 차별 철폐의 날(International Day for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이었습니다. 1994년 철폐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극단적인 인종 차별 정책(아파르트헤이트)은 전 국민의 16%인 백인이 흑인 등의 원주민을 차별한 정책입니다. 아파르트헤이트는 흑인과 원주민이 가질 수 있는 직업의 종류를 제한하고, 백인과의 결혼을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했습니다. 또 백인과 흑인이 같은 버스를 타지 못하며, 선거인 명부도 따로 작성하는 등 흑인을 철저히 차별 대우했습니다. 1960년 3월 21일에 남아공에서 극단적인 인종 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며 평화적 집회를 하던 69명의 시민들이 .. 2015. 3. 21.